티스토리 뷰

필요패키지 설치

apt-get install -y nfs-common cifs-utils

 

이후 ping테스트로 NAS와 통신을 확인하고 연결상태 확인

#showmount 명령으로 NFS 서버의 공유 가능 여부를 확인
showmount -e [NAS ip]

 

마운트 명령어

#nfs vers4 : 
mount -t nfs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nfs vers3 : 
mount -t nfs -o vers=3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추가적으로 reboot시 자동으로 마운트 해주기 위해 fstab 파일을 수정해주어야함

vi /etc/fstab
#마지막줄에 해당내용 추가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nfs    defaults    1    2
#ver3 인 경우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nfs    vers=3,defaults    1    2

 

1, 2 부분은 dump, pass에 대한 내용인데 해당 내용은

 

dump라고 되어있는 다섯번째 항목은 해당 파일 시스템이 dump가 필요한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고, 마지막 여섯번째 항목은 리부팅시에 파일시스템을 검사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다. 파일 시스템을 dump해야한다면 다섯번째 항목을 1로, 아니면 0으로 하면 되고, 파일 시스템을 리부팅 시에 검사하려면 여섯번째 항목을 1보다 큰 값으로, 필요없으면 0으로 하면 된다. 검사는 1부터 순서대로 한다.

 

출처:

https://dev.meye.net/entry/fstab

 

fstab 마지막 두 항목의 의미 - dump, pass

fstab 파일의 가장 위에 보면 보통 아래와 같은 설명이 달려있다. # 앞의 네 항목은 딱 보면 알만한 내용들이라 그렇게 어렵지 않다.file system : 마운트 할 파일 시스템 (/dev/sda, UUID=BLAHBLAH..., proc 등)

dev.meye.net

 

이후 df -Th 명령어로 마운트를 확인하면 된다.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