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필요패키지 설치
apt-get install -y nfs-common cifs-utils
이후 ping테스트로 NAS와 통신을 확인하고 연결상태 확인
#showmount 명령으로 NFS 서버의 공유 가능 여부를 확인
showmount -e [NAS ip]
마운트 명령어
#nfs vers4 :
mount -t nfs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nfs vers3 :
mount -t nfs -o vers=3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추가적으로 reboot시 자동으로 마운트 해주기 위해 fstab 파일을 수정해주어야함
vi /etc/fstab
#마지막줄에 해당내용 추가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nfs defaults 1 2
#ver3 인 경우
[NFS Server]:/[공유 폴더] /[마운트 폴더] nfs vers=3,defaults 1 2
1, 2 부분은 dump, pass에 대한 내용인데 해당 내용은
dump라고 되어있는 다섯번째 항목은 해당 파일 시스템이 dump가 필요한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고, 마지막 여섯번째 항목은 리부팅시에 파일시스템을 검사할지 여부를 설정하는 것이다. 파일 시스템을 dump해야한다면 다섯번째 항목을 1로, 아니면 0으로 하면 되고, 파일 시스템을 리부팅 시에 검사하려면 여섯번째 항목을 1보다 큰 값으로, 필요없으면 0으로 하면 된다. 검사는 1부터 순서대로 한다.
출처:
https://dev.meye.net/entry/fstab
fstab 마지막 두 항목의 의미 - dump, pass
fstab 파일의 가장 위에 보면 보통 아래와 같은 설명이 달려있다. # 앞의 네 항목은 딱 보면 알만한 내용들이라 그렇게 어렵지 않다.file system : 마운트 할 파일 시스템 (/dev/sda, UUID=BLAHBLAH..., proc 등)
dev.meye.net
이후 df -Th 명령어로 마운트를 확인하면 된다.
'리눅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8,rokcy8,Cent8 로컬 레포지토리 local repository 간단명령 (0) | 2024.07.18 |
---|---|
Linux Server 본딩(bonding) 하는법 - [Ubuntu 계열]. (0) | 2024.03.27 |
Ubuntu 22.04 Ethernet connected가 보이지 않는 경우 (0) | 2024.03.27 |
Linux[centOS,Redhat] local YUM Repository 에서 패키지 불러오기. (0) | 2024.03.15 |
[Linux]ssh, vnc, UTM방화벽 (0) | 2023.04.12 |
댓글